분류 전체보기 654

고성 낙남정맥(장전고개, 추계재)

고성 낙남정맥(장전고개, 추계재)낙남정맥은 조선시대 조상들이 인식하던 한반도의 산줄기체계는 하나의 대간(大幹)과 하나의 정간(正幹), 정맥으로 이루어진 것으로 산과 물이 조화를 이루어야 한다는 사상에서 비롯된 이들 맥은 10대 강의 유역을 가름하는 분수산맥을 기본으로 삼고 있어 대부분의 산맥 이름이 강 이름과 밀접한 관련을 가진다.낙남정맥은 낙동강 남쪽에 위치한 정맥으로, 백두산에서 시작된 백두대간이 끝나는 지리산의 영신봉에서 동남쪽으로 흘러, 북쪽으로 남강의 진주와 남쪽의 하동·사천 사이로 이어져, 동쪽으로 마산·창원 등지의 높이 300∼800m의 높고 낮은 산으로 연결되어 김해의 동신어산에서 끝난다.서쪽에서는 섬진강 하류와 남강 상류를 가르고, 동쪽에서는 낙동강 남쪽의 분수령이 된다. 연결되는 산은 ..

GPS 산행 기록 2025.05.01

고성 낙남정맥(담티재, 장전고개)

고성 낙남정맥(담티재, 장전고개)낙남정맥은 조선시대 조상들이 인식하던 한반도의 산줄기체계는 하나의 대간(大幹)과 하나의 정간(正幹), 정맥으로 이루어진 것으로 산과 물이 조화를 이루어야 한다는 사상에서 비롯된 이들 맥은 10대 강의 유역을 가름하는 분수산맥을 기본으로 삼고 있어 대부분의 산맥 이름이 강 이름과 밀접한 관련을 가진다.낙남정맥은 낙동강 남쪽에 위치한 정맥으로, 백두산에서 시작된 백두대간이 끝나는 지리산의 영신봉에서 동남쪽으로 흘러, 북쪽으로 남강의 진주와 남쪽의 하동·사천 사이로 이어져, 동쪽으로 마산·창원 등지의 높이 300∼800m의 높고 낮은 산으로 연결되어 김해의 동신어산에서 끝난다.서쪽에서는 섬진강 하류와 남강 상류를 가르고, 동쪽에서는 낙동강 남쪽의 분수령이 된다. 연결되는 산은 ..

GPS 산행 기록 2025.04.28

대구 달성 비슬산 참꽃(진달래)

대구 달성 비슬산 참꽃(진달래)참꽃(진달래)이 대견봉, 대견사 뒤쪽 고산 분지에 군락을 이루고 있습니다. 4월 초 눈이 내리면서 먼저 핀 참꽃과 꽃봉우리는 냉해로 20%정도가 피해을 보았고 냉해를 입지 않은 참꽃이 개화가 늦어지고 있습니다. 현재 개화는 전체면적의 40~50%정도 개화하였습니다. (비슬산 휴양림 홈페이지에서 실시간 참꽃 개화 상태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산 정상의 바위 모양이 신선이 거문고를 타는 모습을 닮았다 하여 비슬(琵瑟)이라는 이름이 붙었다고 전해지나, 이는 전형적으로 우리말을 음차한 한자에 뜻을 부여한 것으로 추정된다. 상술하였듯 이 산은 전통적으로 '포산(苞山)'으로 불리기도 했는데, 苞(쌀 포)의 훈 '싸다'는 중세 한국어에서 'ᄡᆞ다'였으므로 산의 명칭 '비슬(琵瑟)'은 이..

GPS 산행 기록 2025.04.26

창원 고성 낙남정맥(발산재, 담티재)

창원 고성 낙남정맥(발산재, 담티재)낙남정맥은 조선시대 조상들이 인식하던 한반도의 산줄기체계는 하나의 대간(大幹)과 하나의 정간(正幹), 정맥으로 이루어진 것으로 산과 물이 조화를 이루어야 한다는 사상에서 비롯된 이들 맥은 10대 강의 유역을 가름하는 분수산맥을 기본으로 삼고 있어 대부분의 산맥 이름이 강 이름과 밀접한 관련을 가진다.낙남정맥은 낙동강 남쪽에 위치한 정맥으로, 백두산에서 시작된 백두대간이 끝나는 지리산의 영신봉에서 동남쪽으로 흘러, 북쪽으로 남강의 진주와 남쪽의 하동·사천 사이로 이어져, 동쪽으로 마산·창원 등지의 높이 300∼800m의 높고 낮은 산으로 연결되어 김해의 동신어산에서 끝난다.서쪽에서는 섬진강 하류와 남강 상류를 가르고, 동쪽에서는 낙동강 남쪽의 분수령이 된다. 연결되는 산..

GPS 산행 기록 2025.04.19

여수 영취산 진달래 꽃길

[여수 영취산-한국의 산하]2025년 영취산 진달래 축재 2025.3.22~4.2영취산은 산세가 수려하거나, 산이 높다거나, 산악인들에게 잘 알려진 산도 아니요 그렇다고 한 번쯤 오를 만한 특색있는 산도 아니다. 고향의 뒷산 같은 510m에 불과한 산이다. 영취산 진달래는 키가 작으며 무리지어 군락을 이루고 있는 것이 특징이다. 진달래 군락은 450봉 아래 사면, 450봉을 지나 작은 암봉이 있는 부근, 정상아래 사면, 진래봉 부근 등 크게 4개 지역에 무리지어 있으며 분홍 물감을 부어 놓은 것 같다.영취산 진달래 축제가 매년 4월 첫째 주에 열린다. 진달래 산행 적기는 기온에 따라 차이가 있으나 4월 첫째 주에서 둘째주가 적기가 된다.영취산은 진달래 개화시기 이외에는 그다지 가볼 만한 산은 아니지만 진..

GPS 산행 기록 2025.04.13

고성 낙남정맥(추계재, 죽곡마을)

고성 낙남정맥(추계재, 죽곡마을)낙남정맥은 조선시대 조상들이 인식하던 한반도의 산줄기체계는 하나의 대간(大幹)과 하나의 정간(正幹), 정맥으로 이루어진 것으로 산과 물이 조화를 이루어야 한다는 사상에서 비롯된 이들 맥은 10대 강의 유역을 가름하는 분수산맥을 기본으로 삼고 있어 대부분의 산맥 이름이 강 이름과 밀접한 관련을 가진다.낙남정맥은 낙동강 남쪽에 위치한 정맥으로, 백두산에서 시작된 백두대간이 끝나는 지리산의 영신봉에서 동남쪽으로 흘러, 북쪽으로 남강의 진주와 남쪽의 하동·사천 사이로 이어져, 동쪽으로 마산·창원 등지의 높이 300∼800m의 높고 낮은 산으로 연결되어 김해의 동신어산에서 끝난다.서쪽에서는 섬진강 하류와 남강 상류를 가르고, 동쪽에서는 낙동강 남쪽의 분수령이 된다. 연결되는 산은 ..

GPS 산행 기록 2025.04.07

거제 대금산 진달래꽃

거제 대금산 진달래꽃거제도의 북단에 위치한 산으로 신라시대에 쇠를 생산했던 곳이라 하여 붙여진 이름이며, 그리 높지 않은 산이지만 산세가 순하고 비단폭 같은 풀이 온 산을 덮고 있어 크게 비단을 두른 산이라는 뜻의 대금산으로 불리기도 한다.봄이면 진달래가 아름다운 산으로 많은 관광객이 진달래꽃을 구경하기 위해 몰려드는 곳이다. 중봉을 가리켜 중금산이라 하며 조선 말기에 축성한 성이 있는데, 이 성은 대금, 시방, 율천 등 3개 마을 주민들이 성을 쌓고 군량을 저장하여 남해안의 각 진에 공급하는 일에 함께 참여했다는 산성이며, 이곳에는 약수터와 기우제를 올리던 제단이 있고 약수터에는 칠석과 보름에 많은 사람들이 찾아와 목욕하고 음용하기도 한다.남해바다의 푸른빛과 진달래의 분홍빛, 흰색의 포말이 부서지는 해..

GPS 산행 기록 2025.04.01

구례 지리산 화엄사 홍매화 3층4사자사리석탑

구례 지리산 화엄사 홍매화 3층4사자사리석탑천년의 화엄성지 화엄사 창건연혁문화재의 보고 수많은 문화재와 아름다운 풍광이 있는 불멸의 명작백제시대백제 성왕 22년(544)에 인도 스님이신 연기조사께서 대웅상적광전과 해회당을 짓고 화엄사를 창건 후, 백제법왕(599)때 3천여명의 스님들이 계시면서 화엄사상을 백제 땅에 꽃피웠습니다.신라시대신라시대는 신라 선덕여왕 14년(645)에 자장율사가 부처님 진신사리 73과를 모시고 4사자 3층 사리석탑과 공양탑을 세우셨습니다. 원효성사는 해회당에서 화랑도들에게 화엄사상을 가르쳐 삼국통일을 이루었습니다. 또 문무왕 17년(677)에 의상조사는 2층 4면 7칸의 사상벽에 화엄경을 돌에 새기고 황금장육불상을 모신 장육전 법당(지금의 각황전)과 석등을 조성하였습니다.경덕왕(..

GPS 산행 기록 2025.04.01

구례 산동 산수유 시목지

구례 산동 산수유 시목지산수유 시목(山茱萸始木)이 산수유 나무는 1,000여년 전 중국(山東省)에서 가져와 우리나라에서 가장 먼저 심은 산수유나무 시조이다. 달전마을의 할아버지 나무와 더불어 할머니 나무라고 불리어지고 있으며 여기에서 우리군을 비롯한 전국에 산수유가 보급되었다고 한다. 산동면(山洞面)의 지명도 산수유에서 유래된 것으로 보며 열매는 신장 계통에 특효가 있다.1. 언제: 2025.03.302. 누구와: 나홀로3. 산행코스: 계척마을 입구 주차장→ 산수유 시목지→ 계척마을 입구 주차장(0.7Km)4. GPS 파일:☞ 클릭: 구례 산동 산수유 시목지(https://www.ramblr.com/web/mymap/trip/439148/8337435/) 구례 산동 산수유 시목지◆ 산행코스: 계척마을 입..

GPS 산행 기록 2025.04.01

구례 산동 산수유마을 산수유꽃

구례 산동 산수유마을 산수유꽃축제샛노란 산수유가 전하는 봄 노래, 구례 산수유마을하동에서 섬진강을 따라 19번 국도를 타고 전남 구례로 들어선다. 산수유마을로 알려진 산동마을을 찾아 가려면 월전리에서 섬진강과 더해지는 서시천을 따라 가면 된다. 19번 국도를 따라 북쪽으로 향하면 산동마을과 닿는다. 먼저, 섬진강과 서시천이 만나는 즈음 자리한 구례 관광안내소에 들러 보는 것도 좋다.광양이 매화향에 취해 있는 동안 구례는 노오란 산수유꽃 물결이 일렁인다. 지리산을 등에 업고 구례분지를 품은 산동마을. 이제 막 깨어난 산수유의 노란빛이 수줍다. 광양의 매화와 마찬가지로 아직 만개 전이다. 3월 18일부터 9일간 열리는 축제기간에 만개할 수 있을지도 의문이다. 마을주민들은 비나 바람이 심하지 않다는 가정하에 ..

GPS 산행 기록 2025.03.3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