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PS 산행 기록

구례 지리산 화엄사 홍매화 3층4사자사리석탑

조포(민식) 2025. 4. 1. 16:51
728x90

구례 지리산 화엄사 홍매화 34사자사리석탑
천년의 화엄성지 화엄사 창건연혁
문화재의 보고 수많은 문화재와 아름다운 풍광이 있는 불멸의 명작
백제시대
백제 성왕 22(544)에 인도 스님이신 연기조사께서 대웅상적광전과 해회당을 짓고 화엄사를 창건 후, 백제법왕(599) 3천여명의 스님들이 계시면서 화엄사상을 백제 땅에 꽃피웠습니다.
신라시대
신라시대는 신라 선덕여왕 14(645)에 자장율사가 부처님 진신사리 73과를 모시고 4사자 3층 사리석탑과 공양탑을 세우셨습니다. 원효성사는 해회당에서 화랑도들에게 화엄사상을 가르쳐 삼국통일을 이루었습니다. 또 문무왕 17(677)에 의상조사는 2 4 7칸의 사상벽에 화엄경을 돌에 새기고 황금장육불상을 모신 장육전 법당(지금의 각황전)과 석등을 조성하였습니다.
경덕왕(742~764)때 이르러 8 81암자로 화엄불국 연화장세계의 면모를 갖추고, 신라말기 헌강왕(875)때 도선국사는 동오층석탑과 서오층석탑 조성과 더불어 화엄사 중흥조가 되시면서 화엄사가 대총림으로 승격되었습니다
고려시대
고려시대는 고려 태조 26(943)에 왕명으로 고려 최초로 화엄사를 중수하였고, 홍경선사가 퇴락한 당우와 암자를 중수하였습니다. 문종(1047083)때 대각국사 의천에 의하여 중수, 인종(1126146)때 정인왕사가 중수, 명종 2(1172)에 도선국사비 건립, 충렬왕(1236~1308)때 원소암 중건, 충숙왕(1313330)때 조형왕사에 의한 전면적인 보수를 하였습니다.
조선시대
조선시대에 세종 6(1426)에 선종대본산으로 승격된 화엄사는 배불의 와중에도 설옹, 승인, 부휴, 증관, 무렴 등의 고승대덕들에 의해 법석의 요람을 이루었습니다. 임진왜란(1592~1598)때는 호남의 관문 구례 석주관에서 승병 300여 명을 조직하여 왜군에 맞서 싸웠으나 이 앙갚음으로 왜장 가등청정(加藤淸正)은 화엄사를 전소시키기에 이릅니다.
인조(1630636)때 벽암선사와 문도들이 대웅전 등 몇몇 건물을 중건하고, 숙종(1699~1703)때 계파선사와 문도에 의하여 장육전 자리에 현존하는 목조건물로는 국내 최대규모로 웅장한 각황전 건립과 더불어 선교 양종대가람이 되었고, 근세에 이르러 도광대종사의 전면적인 중수에 힘입어 지금의 화엄사로 중흥할 수 있었습니다.

명칭화엄사 화엄매
종목천연기념물
소재지전남 구례군 마산면 화엄사로 539
지정면적: 1
심은 시기조선 숙종(1674~1720)
꽃피는 시기: 3월 초중순
지정일: 2024 1 24 
홍매화의 천연기념물 지정 명칭은 “구례 화엄사 화엄매”이다문헌에 의하면(지리산 화엄사 이야기진조스님, 2021) 화엄사 홍매화는 “일명 장육매(丈六梅), 각황매((覺皇梅), 화엄연화장 세계에 있다고 하여 화엄매(華嚴梅), 각황전 삼존불(아미타불석가모니다보불)을 표기하여 삼불목(三佛木)이라고 하였다
화엄사 홍매화를 국가유산 천연기념물 “구례 화엄사 화엄매”로 지정한 사유는
3월 초 중순경 검붉은 화색과 두줄기가 꼬인 수형으로 자연적으로 성장하면서 수목의 줄기나 가지의 생육이 굴곡을 만들면서 위로 또는 밑으로 자라는 형질을 가지고 있어 다른 천연기념물로 지정된 매화나무 들과 비교하여 학술적 가치가 있으며기존 천연기념물로 지정된 4대 매화(순천 선암사 선암매강릉 오죽헌 율곡매구례 화엄사 들매화장성 백양사 고불매 검붉은 꽃은 화엄사 홍매화 뿐이기 때문이다
‘거룩하신 법신 각황매여!
“자비의 심지로 뿌리내린 4백년 세월당신의 이름은 각황매당신의 나이만큼 각황전을 지켜 온 부처님의 제자대선사여기다림을 아는 흔적이 실체되어 꽃으로 피어나고범종소리 가지 끝에 닿을 적 마다 마디마디 염주알 같은 꽃망울에 맺혔다가 법광으로 붉게 핀 꽃 굳은 절개의 꽃이여나 어느해 쯤 당신과 맞닿을 법음을 알며 나 어느때쯤 잉어의 비늘같은 허물을 벗고 지리산 대숲에 바람이 일 듯 지고지순한 당신을 우러르며 살까사바의 고통을 꽃잎으로 날려 보내며 중생의 고통을 새순으로 돋게 하는 희망의 꽃자비의꽃 홍매화여각황매여거욱한 법신이여! 
-불교문학상 수상자 윤당 현중순 선생의 시-

종목: 국보 35
명칭: 화엄사 사사자 삼층석탑(華嚴寺四獅子三層石塔)
분류: 석탑
수량: 1
지정일: 1962. 12. 20
소재지: 전남 구례군 마산면 황전리 12 화엄사
시대: 통일신라시대
 화엄사 지리산 자락에 있는 화엄사는 백제 성왕 22 (544)에 연기존자(鷰起尊者)가 세운 절로, . 탑은 소나무 숲으로 둘러싸인 절 서북쪽의 높은 대지에 석등과 마주보고 서 있으며, 2단의 기단(基壇)위에 3층의 탑신(塔身)을 올린 형태이다. 아래층 기단의 각 면에는 천인상(天人像)을 도드라지게 새겼는데, 악기와 꽃을 받치고 춤추며 찬미하는 등의 다양한 모습이 그려져 있다. 가장 주목되는 위층 기단은 네 마리의 사자를 각 모퉁이에 기둥삼아 세워 놓은 구조로, 모두 앞을 바라보며 입을 벌린 채 날카로운 이를 드러내고 있다. 사자들에 에워싸여 있는 중앙에는 합장한 채 서있는 스님(비구니)상이 있는데 이는 연기존자의 어머니라고 전하며, 바로 앞 석등의 탑을 향해 꿇어앉아 있는 스님상은 석등을 이고 어머니께 차를 공양하는 연기존자의 지극한 효성을 표현해 놓은 것이라 한다.
 탑신은 1층 몸돌에 문짝 모양을 본떠 새기고, 양 옆으로 인왕상(仁王像), 사천왕상(四天王像), 보살상을 조각해 두었다. 평평한 경사를 보이고 있는 지붕돌은 밑면에 5단씩의 받침이 있으며, 처마는 네 귀퉁이에서 살짝 들려 있다. 탑의 꼭대기에는 머리장식의 받침돌인 노반(露盤)과 복발(覆鉢:엎어놓은 그릇모양의 장식)만이 남아있다. 각 부분의 조각이 뛰어나며, 지붕돌에서 경쾌한 아름다움을 보여주고 있다특히 위층 기단의 사자조각은 탑 구성의 한 역할을 하고 있어 불국사 다보탑(국보 제20)과 더불어 우리나라 이형(異形)석탑의 쌍벽을 이루고 있다.
 신라 선덕여왕14(645)에 자장율사께서 부처님 진신사리 73과를 모시고 사리탑과 공양탑을 세웠다. 연기존자께서 오른 어깨에 옷을 벗어 메이고 오른 무릎을 땅에 붙이고 머리에 석등을 이고 왼 손에는 찻잔과 구슬(여의주:불성)을 받쳐 들고 어머니에겐 진리의 공양을 부처님에겐 차공양을 올리는 모습은 효사상의 공양탑(供養塔)이며, 앞쪽은 12선녀(시간,공간), 희노애락(번뇌)의 표정을 한 4사자(지혜)와 어머니(비구니:수행자)는 봉오리 연꽃(불성)을 들고, 3(3)의 탑의 모습인 사리탑은 즉 수행자는 불성(佛性)을 밝히기 위해서 번뇌를 끊고 지혜를 얻어 삼계(三界)의 대도사인 부처님 되기를 원하는 견성성불(見性成佛) 사상의 사리탑(舍利塔)으로서 4사자3층사리석탑을 일명 효대(孝臺)라고도 부른다.

1. 언제: 2025.03.30
2. 
누구와나홀로
3. 
산행코스지리산 남부탐방 안내소 주차장→ 화엄사계곡→ 화엄사→ 홍매화(화엄매)→ 34사자사리석탑→ 화엄사→ 화엄사계곡→ 지리산 남부탐방 안내소 주차장(4.5Km)
4. GPS 
파일:

구례 지리산 화엄사 홍매화 3층4사자사리석탑_20250330.gpx
0.05MB
구례 지리산 화엄사 홍매화 3층4사자사리석탑_20250330.kmz
0.01MB


클릭: 구례 지리산 화엄사 홍매화 3층4사자사리석탑(https://www.ramblr.com/web/mymap/trip/439148/8337990/)

 

구례 지리산 화엄사 홍매화 3층4사자사리석탑

◆ 산행코스: 지리산 남부탐방 안내소 주차장→ 화엄사계곡→ 화엄사→ 홍매화→ 3층4사자사리석탑→ 화엄사→ 화엄사계곡→ 지리산 남부탐방 안내소 주차장(4.5Km)

www.ramblr.com

램블러 지도 이미지
구글어스 고도포함 이미지
구글어스 북쪽 기준 이미지
구글어스 동쪽 기준 이미지
구글어스 남쪽 기준 이미지
구글어스 서쪽 기준 이미지
화엄사 까지 걷기, 지리산 남부탑망지원센타 주차장에 주차를 하고 출발을 합니다. 지리산국립공원에서 화엄사와 주차장 간 셔틀버스를 무료로 운영을 하고 있습니다.
화엄사 까지 걷기
화엄사 까지 걷기, 화엄사 일주문
화엄사 까지 걷기
화엄사 까지 걷기, 화엄사 계곡을 따라 올라 갑니다.
화엄사 까지 걷기
화엄사 까지 걷기
화엄사 까지 걷기
화엄사 까지 걷기
화엄사 불이문
화엄사, 벚꽃이 탐스럽게 피였습니다.
화엄사 금강문
화엄사 천왕문
화엄사 보제루
화엄사 대웅전(보물299호)와 동오층석탑(보물132호)
화엄사 서오층석탑(보물133호), 뒤편은 화엄사 각황전(국보67호)
화엄사, 사사자 감로탑(보물 300호)
화엄사 황매화(화엄매, 천연기념물)
화엄사 황매화(화엄매, 천연기념물)
화엄사 황매화(화엄매, 천연기념물)
화엄사 황매화(화엄매, 천연기념물)
화엄사 황매화(화엄매, 천연기념물)
화엄사 황매화(화엄매, 천연기념물)
화엄사 황매화(화엄매, 천연기념물)
화엄사 황매화(화엄매, 천연기념물)
화엄사
화엄사 3층4사자사리석탑(4사자3층석탑, 국보 35호)
화엄사 3층4사자사리석탑(4사자3층석탑, 국보 35호)
화엄사 3층4사자사리석탑(4사자3층석탑, 국보 35호)
화엄사 3층4사자사리석탑(4사자3층석탑, 국보 35호)
화엄사 3층4사자사리석탑(4사자3층석탑, 국보 35호)
화엄사 3층4사자사리석탑(4사자3층석탑, 국보 35호)
화엄사 3층4사자사리석탑(4사자3층석탑, 국보 35호)
화엄사 각황전 옆에 홍매화(화엄매 천연기념물)가 보입니다.
화엄사 대웅전
화엄사
화엄사에서 주차장까지 걷기
화엄사에서 주차장까지 걷기
화엄사에서 주차장까지 걷기
화엄사에서 주차장까지 걷기
화엄사에서 주차장까지 걷기
화엄사에서 주차장까지 걷기
화엄사에서 주차장까지 걷기
화엄사에서 주차장까지 걷기
화엄사에서 주차장까지 걷기
화엄사에서 주차장까지 걷기
화엄사에서 주차장까지 걷기
화엄사에서 주차장까지 걷기
화엄사에서 주차장까지 걷기
화엄사에서 주차장까지 걷기
화엄사에서 주차장까지 걷기
화엄사에서 주차장까지 걷기
화엄사에서 주차장까지 걷기
화엄사에서 주차장까지 걷기
화엄사에서 주차장까지 걷기, 화엄사 홍매화(화엄매) 마무리 합니다.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