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PS 산행 기록

경복궁 관람

조포(민식) 2025. 1. 25. 16:27
728x90

경복궁
[개요]
서울특별시 종로구 사직로 161 (세종로)에 있는 조선시대의 궁궐 중 하나이자 조선의 정궁(법궁)으로사적 117호로 지정되었다태조가 조선을 건국하고 한양 천도를 단행하면서 조선 시대에 가장 먼저 지은 궁궐이다.
1592
 
임진왜란 [4] 소실되어 275년간 방치되다가 1865 고종 재위 시기에 왕실의 권위를 높이기 위한 목적으로 중건되었다. 공사가 완료되었을 당시 건물 수는 330여 동으로, 궐내 전각 7225칸과 후원() 내 전각 232칸 반을 합해 7450여 칸 상당의 거대한 자랑하는 건축물로 거듭났다. 하지만 조선 말기와 대한제국 시절에 전각이 소수 이전되었고 일제강점기에는 전각 수천 칸이 헐리거나 매각되었으며조선총독부 청사와 같은 다른 건물이 들어서는 등 대부분의 구역이 소실되었다.
심지어는 대한민국 정부가 수립된 이후에도 
선원전 권역에 남은 9 106칸마저 철거해버리는 등 수난을 겪었다. 복원 사업을 처음 착수한 해인 1990에 이르러서는 고작 36동의 건물(고종 재위 당시의 7% 수준)만 남아있는 상태였으며, 지금도 계속 복원이 이루어지고 있다. 다만 사라진 전각들에 대한 자료가 매우 부족하여 복원한 전각들도 완벽하게 원형이라는 보장은 없으며, 후일에도 완전한 경복궁의 모습을 볼 수 있을지는 미지수이다.
[구조 및 지리]
원래는 신진사대부가 계획한 궁궐이기 때문에 '검이불루 화이불치'(검소하되 누추하지 않고 화려하되 사치스럽지 않다)라는 유교 이념을 반영하여 이전 왕조들의 궁궐에 비해 화려한 장식 없이 수수하고 검소한 형태로 지어졌었다. 배치는 유교적인 관점에 따라 삼문삼조의 형태로 되어 있었다.
임진왜란 전 조선 전기 동안 조선 왕조의 법궁으로 중요한 역할을 담당했다. 경복궁은 법궁으로서의 권위를 나타내기 위해 엄정한 기하학적 공간 분할, 반듯한 축선 상의 건물 배치, 정연한 대칭 구조로 설계되었다. 이궁인 창덕궁(+창경궁)과 양궐 체제를 갖췄는데, 임금들은 각자의 취향에 따라 두 궁궐을 번갈아 가며 사용했다.
임진왜란 때 소실된 이후 그 자리만 출입이 금지된 채 200여 년 동안 재건되지 못하다가 
고종이 재건해 지금까지 전해 온다. 참고로 고종이 지은 경복궁과 임진왜란 당시 소실된 경복궁의 모습은 다소 차이가 있다세종이 왕자 시절 2층에서 자다가 병이 났다는 등 다층 건물에 대한 기록이 눈에 띈다. 또한, 근정전에 청기와를 얹었다는 언급 등 차이점이 보이며, 임진왜란 이전에 조선 왕실에서 제작했다는 석가탄생도 등에서 묘사된 건축양식에서 당시 경복궁의 모습을 짐작할 수 있다. 무엇보다 최대규모 5천 칸까지 서서히 확장되었던 이전 건물과 다르게 흥선대원군은 단숨에 7400칸짜리로 중건했다. 단숨에 1.5배 크기가 된 것이다.
현재의 행정구역으로는 서울특별시 종로구에 위치해 있다. 가장 가까운 지하철역은 
경복궁역이며, 5번 출구로 나가면 바로 경복궁의 정문인 광화문 안쪽으로 들어갈 수 있다. 그리고 안국역이나 광화문역에서도 걸어갈 수 있다. 경복궁 앞길에는 각종 관청이 있어 육조 거리라고 불렸으며, 이 길이 오늘날의 세종대로.[10] 당대에도 국가의 중심 거리였기 때문에 육조 거리는 지금의 세종대로의 폭과 거의 같은 폭으로 조성되었다고 한다. 현재 세종대로 중앙에는 광화문광장이 있다. 주변에는 청와대헌법재판소정부서울청사주한미국대사관세종문화회관 등이 있으며인사동길도 경복궁에서 꽤 가깝다.
경복궁의 전각들은 대체로 남향으로 건축되었으나 완전한 정남향은 아니다. 당대 측량기술의 한계로 보인다.

1. 언제: 2025.01.04
2. 누구와아내와
3. 산행코스: 경복궁 경내 관람
4. GPS 파일:

경복궁 관람_20250104.gpx
0.02MB
경복궁 관람_20250104.kmz
0.00MB


☞ 클릭: 경복궁 관람(https://www.ramblr.com/web/mymap/trip/439148/7973165/)

 

경복궁 관람

◆ 산행코스: 경복궁 경내 관람

www.ramblr.com

 

램블러 지도 이미지
구글어스 고도포함 이미지
구글어스 북쪽 기준 이미지
구글어스 동쪽 기준 이미지
구글어스 남쪽 기준 이미지
구글어스 서쪽 기준 이미지
경복궁 조감도
경복궁 홍례문 앞에서 인증샷
경복궁 홍례문
경복궁 근정문
경복궁 근정문 인증샷
경복궁 근정문
경복궁 유화문
경복궁 근정전
경복궁 근정전 경복궁 근정전은 조선시대 법궁인 경복궁의 중심 건물로, 신하들이 임금에게 새해 인사를 드리거나 국가의식을 거행하고 외국 사신을 맞이하던 곳이다.
경복궁 품계석
경복궁 박석
경복궁 근전정 내부
경복궁 근정전 내부
경복궁 근정전의 드므 우리나라 궁(宮)에는 모두 있습니다. 경복궁, 덕수궁,창덕궁...그리고 유명한 사찰의 산사에도 있습니다. 세 개의 손잡이 고리가 달린 '드므'는 그곳에 물을 담아 방화수(防火水)로 썼다고 합니다. 불을 끄기 위한 용도였지만 주술적인 의미로도 사용했습니다. 모두가 잠든 밤, 화마(火魔)가 슬며시 내려왔다가 '드므'에 얼굴을 비춰보고는 ,..  자신 화마의 험상궂은 얼굴에 놀라 도망을 갔다고 합니다.
경복궁 사정문
경복궁 사정전 경복궁은 고대부터 전해져 내려 온 궁궐건축의 제도인 전조후침 및 삼문삼조의 기본배치 원리에 따라 외조, 치조, 연조의 구역으로 크게 나뉘어지며 각기 제 기능에 따른 전각이 배치되었다. 치조 구역에는 경복궁의 정전인 근정전이 있고, 그 뒤로 사정전, 만춘전, 천추전이 자리 잡고 있다. 사정전은 왕이 평상시 거처하며 정사를 보살피던 곳으로 근정전에서 뒤편으로 사정문을 지나면 정면에 위치하며, 사정전의 동측으로 만춘전과 서측으로 천추전이 있다.
경복궁 사정전 내
경복궁 강녕전
경복궁 연생전
경복궁 연길당
경복궁
경복궁 교태전
경복궁
경복궁 함원전
경복궁 아미산 굴뚝
경복궁 아미산 굴뚝
경복궁 자경전 십장새 굴뚝
경복궁
경복궁과 인왕산
경복궁 자경전
경복궁 자경전 청연루
경복궁 국립민속박물관
경복궁
경복궁의 골목
경복궁의 골목
경복궁의 골목
경복궁의 골목
경복궁의 골목
경복궁의 골목
경복궁의 골목
경복궁의 골목
경복궁
경복궁
경복궁
경복궁
경복궁 영제교의 천록
경복궁 광화문
경복궁 광화문 인증샷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