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전은 왕과 왕비가 세상을 떠난 후 궁궐에서 삼년상을 치른 다음 신주를 옮겨와 모시는 건물이다. 태조 4년(1395)에 처음 건립되었고 임진왜란 이후 광해군 즉위년(1608)에 다시 지은 후, 두 차례에 걸쳐 증축하여 현재의 모습이 되었다. 건물 전체의 모습은 일자형으로 우리나라 단일건물로는 가장 긴 건물이며 고전적인 건축미를 잘 보여준다. 정전에는 조선을 건국한 태조의 신주를 비롯하여 공덕이 있는 왕과 황제 19위와 왕비와 황후 30위의 신주가 모셔져 있다. 1985년 국보로 지정되었다. 정전의 월대 아래 동쪽에는 공신당이 있고, 서쪽에는 칠사당이 있다. 공신당은 정전에 모신 역대 왕들 공신의 위패를 모신 사당이며, 칠사당은 토속 신앙과 유교 사상에 관련한 일곱 신에게 제사를 지내는 사당이다. 영녕전은 세종 3년(1421)에 새로 지은 별묘(別廟)이다. '영녕'은 '왕실 조상과 자손이 함께 평안하다'라는 뜻을 담고 있다. 임진왜란 이후 광해군 즉위년(1608)에 다시 지은 후, 두 차례에 걸쳐 증축하여 현재의 모습이 되었다. 영녕전에는 종묘(정전)에서 옮겨온 왕과 황제 15위와 왕비와 황후 17위, 그리고 마지막 황태자와 황태자비의 신주가 모셔져 있다. 1985년 보물로 지정되었다. 종묘제례는 왕이 친히 행하는 가장 격식이 높고 큰 제사로 정전 에서는 사계절의 각 첫 달과 납일(동지 뒤 세 번째 미일未日)을 합쳐 일 년에 다섯 번, 영녕전에서는 봄·가을에 두 번 지냈다. 현재는 매년 양력 5월 첫 주 일요일과 11월 첫 주 토요일에 제례를 지내고 있다. 종묘제례악은 기악과 노래, 춤을 갖추고 종묘제례 의식에 맞추어 행하는 음악이다. 보태평과 정대업이라는 음악을 중심으로 조상의 공덕을 찬양하는 내용의 노래(종묘악장)를 부르고, 문덕(文德)과 무공(武)을 칭송한 일무(문무와 무무)를 춘다.
램블러 지도 이미지구글어스 고도포함 이미지구글어스 북쪽 기준 이미지구글어스 동쪽 기준 이미지구글어스 남쪽 기준 이미지구글어스 사쪽 기준 이미지종묘광장공원, 전철을 타고와 종묘광장공원에서 종묘 관람을 시작 합니다.종묘광장 공원종묘 입구종묘공원 돌담길 걷기, 평일에는 자유관람이 불가하고 해설사 안내와 유도에 따라 종묘를 관람할 수 있습니다. 11시 20분 한국어 해설사 관람시간이며 시간적 여유가 있어 종묘 돌담길을 따라 걷기를 합니다.종묘공원 돌담길 걷기종묘공원 돌담길 걷기종묘공원 돌담길 걷기종묘공원 돌담길 걷기종묘공원 돌담길 걷기종묘공원 돌담길 걷기종묘공원 돌담길 걷기종묘공원 돌담길 걷기종묘공원 돌담길 걷기종묘공원 돌담길 걷기종묘공원 돌담길 걷기종묘공원 돌담길 걷기종묘공원 돌담길 걷기. 율곡로 출입구종묘공원 돌담길 걷기종묘공원 돌담길 걷기종묘공원 돌담길 걷기종묘공원 돌담길 걷기종묘공원 돌담길 걷기종묘공원 돌담길 걷기종묘공원 돌담길 걷기종묘공원 돌담길 걷기종묘공원 돌담길 걷기종묘관람, 종묘입장료를구매하였습니다종묘관람종묘관람종묘관람종묘관람, 종묘역사 해설사 안내종묘관람, 종묘 종합안내도종묘관람, 종묘로 향하는 가운데는 신로, 오른쪽은 어로, 왼쪽 세로종묘관람종묘관람종묘관람종묘관람, 종묘 재궁종묘관람, 종묘 재궁종묘관람, 종묘 재궁종묘관람종묘관람종묘관람종묘관람종묘관람, 종묘 정전에 모셔 저 있는 신위종묘관람, 종묘 제례악 설명종묘관람종묘관람, 종묘 정전, 현재 정전의 지붕 보수공사가 진행되고 있습니다. 종묘는 조선왕조 역대 임금의 신위를 모신 곳으로, 정전은 종묘의 중심 건물로 영녕전과 구분하여 태묘(太廟) 라 부르기도 한다. 정전은 조선시대 초 태조 이성계의 4대조(목조, 익조, 도조, 환조) 신위를 모셨으나, 그 후 당시 재위하던 왕의 4대조(고조, 증조, 조부, 부)와 조선시대 역대 왕 가운데 공덕이 있는 왕과 왕비의 신주를 모시고 제사하는 곳이 되었다. 종묘는 토지와 곡식의 신에게 제사지내는 사직단과 함께 국가에서 가장 중요시한 제례 공간으로, 그 건축 양식은 최고의 격식을 갖춘다. 현재 정전에는 서쪽 제1실에서부터 19분 왕과 왕비의 신주를 각 칸을 1실로 하여 모두 19개의 방에 모시고 있다. 이 건물은 칸마다 아무런 장식을 하지 않은 매우 단순한 구조이지만, 19칸이 옆으로 길게 이어져 우리나라 단일건물로는 가장 긴 건물이다. 홑처마에 지붕은 사람 인(人)자 모양의 맞배지붕 건물이며, 기둥은 가운데 부분이 볼록한 배흘림 형태의 둥근 기둥이고, 정남쪽에 3칸의 정문이 있다. 종묘 정전은 선왕에게 제사지내는 최고의 격식과 검소함을 건축공간으로 구현한, 조선시대 건축가들의 뛰어난 공간창조 예술성을 찾아볼 수 있는 건물이다.종묘관람종묘관람, 악공청, 종묘제례악을 연주하는 악공이 머물던 곳이라 합니다.종묘관람종묘관람종묘관람종묘관람, 종묘 영녕전 종묘는 조선시대 왕·왕비·공신 등의 신주를 모셔놓고 제사를 지내던 곳이다. 그 중 영녕전은 종묘의 일부로 정전의 서북쪽에 자리잡고 있다. 영녕전을 짓게 된 동기는 시간이 흐르고 죽은 왕의 수가 늘어남에 따라 건물을 늘리거나 새로 지어야 할 필요 때문이었다. 이 건물은 세종 3년(1421) 정종의 신주를 종묘에 모실 때 지은 것으로, 태조의 4대조와 정전에서 계속 모실 수 없는 왕과 왕비의 신주를 옮겨 모신 곳이다. 현재 영녕전에는 가운데 4개의 방을 양쪽 옆에 딸린 방들보다 높게 꾸미고, 각 방에 태조의 4대조인 목조, 익조, 도조, 환조와 왕비들의 신주를 모시고 있다. 그리고 서쪽 5번째 방부터 16번째 방까지 각각 정종과 왕비, 문종과 왕비, 단종과 왕비, 덕종과 왕비, 예종과 왕비, 인종과 왕비, 명종과 왕비, 원종과 왕비, 경종과 왕비, 진종과 왕비, 장조와 왕비, 의민황태자(영친왕)와 태자비의 신주를 모시고 있다. 17세기 중기 건축양식을 보여주는 이 건물은 제사를 드리는 곳이라는 목적에 맞도록 구조와 장식·색 등이 간결하고 장중한 느낌을 주도록 만들었다. 일부 구조에서는 옛 방식을 따라 입구에 널문을 달고 발을 쳤으며, 건물 안쪽 방 사이에는 담벽을 치지 않고 발을 늘여 나누어 놓았다. 신위를 모시는 집으로 옛 전통을 잘 간직하고 있는 문화유산 중 하나라 할 수 있다.종묘관람, 영녕전 인증샷종묘관람종묘관람종묘관람종묘관람종묘관람종묘관람종묘관람종묘관람, 종묘광장 공원종묘관람, 종묘 관람을 마무리하고 청계광장으로 이동을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