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수 묘도 봉화산 이순신대교
[이순신 대교]
이순신대교(李舜臣大橋)는 전라남도 여수시 묘도동와 광양시 금호동을 연결하는 길이 2.26km의 현수교이다.
2013년 기준, 2개의 주탑 사이의 경간(徑間) 길이가 1,545m로 대한민국에서 가장 길고, 해수면에서 상판까지의 높이 역시 80m로 대한민국에서 가장 높다.
이 다리는 여수국가산단 진입도로 건설공사의 일환으로 건설되었으며, 2007년 10월에 착공하여 2012 여수 세계박람회 때문에 2012년 5월 10일부터 8월 13일까지 3개월여 간 임시개통하였다가 2013년 2월 7일 정식으로 개통하였다.
[묘도 봉화산 전망대(봉수대)]
묘도는 임진왜란 막바지인 1598(선조31년) 9월 하순부터 11월 19일 노량해선이 벌어지기까지 약 2개월간에 걸친 광양만 전투 과정에서 이순신 장군과 명나라 수군도독 진린의 조 명연합수군이 진을 쳤던 곳이다. 진린 도독이 주둔했던 곳은 지금도 도독마을로 불리고 있으며 성의 서쪽에서 함선을 감추었던 선장개가 있다.
이곳 묘도봉수대는 남으로 방답진 봉수→ 전라좌수영의 북봉연대→ 진례봉수와 북으로 순천부의 성화산 봉수 그리고 동으로 광양현의 건대산 봉수, 남해연의 소흘산(설흘산)봉수와 서로 상응하던 사잇봉수(간봉)로 광양만 중심에 있는 지정하적 위치로 인해 매우 중요한 역할을 수행했을 것으로 여겨지며 임진왜란 최후의 전투인 노량해전과 충무공 이순신 장군의 순국을 지켜본 살아있는 역사 현장이다.
이 봉수대 동쪽에는 묘도동산성이 있는데 산성은 묘도산성, 온동산성, 유두산성, 도독산성으로 불린다.
체성은 돌로 쌓았으며, 총 둘레는 699m이다. 이 산성은 문헌기록을 찾아볼 수 없고 성이 거의 무너져 있어서 연대를 정확히 알 수 없으나 출토 유물 가운데 기와류가 고려시대 것으로 추정되므로 이 산성은 고려시대 것으로 추정되므로 이 산성은 고려시대와 그 이후에 사용되었을 것으로 추정할 뿐이다. 그런데 이 산성은 임진왜란 때 사용되었던 것으로 구전되고 있다.
1. 언제: 2020.11.21
2. 누구와: 나 홀로
3. 산행코스: 이순신 대교 홍보관 주차장→ 봉화산 전망대 공원→ 이순신 대교 홍보관→ 묘도 등산로(가칭 등산로 조성중)→ 온동마을→ 도독마을→ 이순신 대교 홍보관 주차장 (9.8Km)
4. GPS 파일:
☞ 클릭: 여수 묘도 봉화산 그리고 이순신 대교(www.ramblr.com/web/mymap/trip/439148/2534482/)
'GPS 산행 기록' 카테고리의 다른 글
보성 서편제 보성소리 득음길 2코스(숲속산책길) (0) | 2020.11.29 |
---|---|
보성 서편제 보성소리 득음길 1코스(편백숲길) (0) | 2020.11.29 |
벌교 태백산맥 문학기행길 (0) | 2020.11.17 |
하동 분기(지)봉 구재봉 (0) | 2020.11.08 |
보성 존제산 (0) | 2020.11.0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