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청 정수산-한국의 산하]
정수산은 고찰 율곡사와 새신바위를 품고있는 물이 깨끗한 산으로 지형상으로는 산청 관내의 모든 산의 중심 산이다. 북으로 부암산, 황매산, 효염봉 남으로 둔철산, 웅석봉, 왕산, 필봉 등 모든 산이 정수산을 중심에 두고 보고있는 자리에 있다. 율곡사 뒤편에 있는 새신바위는 진주 바위꾼들이 자주 찾는 암벽훈련장이 있다.
정수산 자락의 율곡사는 신등면 율현마을 뒤편에 있는데 신라 진덕여왕 5년에 원효 대사가 창건한 것으로 전한다. 특히 대웅전은 보물 제 374호로 지정되었는데 조선중기의 건물로서 정면 3칸, 측면 2칸의 단층 팔작기와집으로 '다듬은 돌 바른 층 쌓기' 의 기단 위에 막돌 초석을 놓고 민흘림 두리기둥을 세웠다. 공포는 내외삼출목으로 기둥 위와 기둥 사이 평방 위에 모두 짜 올린 다포식으로 되어있다. 첨차가 내외 모두 교두 형으로 조선초기의 양식을 이루고 있으나 외목 도리를 고정시키고 있는 조각의 모양으 로 보아 조선중기의 건축으로 추측되며 정면 창호는 팔각 불발기와 띠살을 혼합한 특이한 모양을 이루고 있다.
율곡사 산봉우리 밑에 수십 길이나 되는 암벽이 있는데 그 이름이 새신바위이다. 원효대사가 절터를 잡을 때 이 바위에 올라서 바라보고 터를 정했다는 곳이다. 절이 완공될 무렵 법당에 단청을 하였는데 이레 동안을 절대로 법당 안을 들여다보지 말 것을 일러놓고 화공이 법당으로 들어갔다.
아무런 인기척이 없어서 궁금히 여긴 상좌승이 이레째 되던 날 몰래 문틈으로 법당 안을 보았더니, 새 한 마리가 붓을 물고 날아서 벽화를 그리다가 그만 붓을 떨어뜨리고 날아서 나가 버렸다. 그 새가 날아가서 새신바위에 앉았기 때문에 바위이름이 새신바위가 되었고 지금도 법당의 천장 밑 좌우 벽면에 산수화 그림 두 점씩이 남아있는데 미완성으로 알려져 있다.
산행 길잡이
정수산 등산로는 산청읍 덕촌마을의 금천사에서 시작하는 종주코스와 척지마을에서 시작하는 코스가 있고 율곡사와 새신바위가 있는 율곡사코스 등이 있다. 척지마을에서 시작하는 코스는 진주에서 3번 국도를 이용 산청읍 못 미쳐 정곡리에서 60번 도로를 이용하여 내정저수지를 지나 척지마을의 척지분교 뒤 임도를 따라 30분 정도 운행하면 농사용 창고가 나오고 곧 작은 고개마루도 나오고 여기서 다시 40-50분을 가면 갈림 길이 나오는데 오른쪽은 율곡사와 새신바위 가는 길이고 북쪽은 평촌마을로 내려서는 길이다. 삼거리를 지나면 정수산만의 멋을 느낄 수 있는 참나무와 소나무가 여름이면 적당한 그늘을 형성하여 햇볕을 싫어하는 여성 등산객에게는 너무나 낭만적인 오솔길 이다.
오솔길이 끝나는 곳에서 10분이면 정상이고 정상에 서면 건너편의 웅석봉이 손에 잡히고 그 아래 경호강의 푸른색이 등산객의 마음을 청아하게 해준다. 왕산, 필봉, 코 앞의 둔철산, 북쪽의 부암산, 황매산이 있어 정수산은 산청관내 모든 산의 중앙봉이자 전망대 산으로도 손색이 없다.
정상에서는 척지마을로 되돌아오는 코스와 비득재, 상여봉, 와룡산으로 하산하는 코스는 너덜지대이므로 조심스럽게 하산하여야 하며 척지마을에서 정상까지는 6km 로 3시간이면 정상에 도달할 수 있고 율곡사코스는 율곡사 정문 왼쪽에 등산로가 있고 새신바위는 30분이면 도착되고 여기서 1시간30분이면 정상이다.
1. 언제: 2018.09.09
2. 누구와: 나홀로
3. 산행코스: 병정저수지→ 내수마을 삼거리→ 척지소류지삼거리→ 정수산→ 차황삼거리→ 버득재→ 내수마을→ 병정저수지(14.3Km)
4. GPS 파일:
병정마을 입구 좌측엔 저수지가 있습니다.
병정저수지 안개로 보이지 않습니다.
병정마을입구의 정자 나무
스마트폰 지도를 보고 산행 초입을 찾아 갑니다.
정수산 병정마을 산행 초입
농도에 밤이 많이 떨어져 있습니다. 몇개 주워왔습니다.
농도와 계곡 최근에 비가 많이와 수량이 풍부 합니다.
농도 끝에 사과 밭이 있습니다. 이곳 출입을 금지시키고 있었고 등산로도 없읍니다. 스마트폰 지도를 보고 등산로를 찾아 갑니다.
아... 거우 길이 있습니다. 등산로가 아닌 묘지와 묘지를 연결하는 길입니다.
길을 찾아 헤메던 중 마난 바위언덕 기어 올라 갑니다.
아침이라 안개아 햇볕이 만들어낸 빛내림 몽상적이 분위기를 만들어 냅니다.
확실한 등산로는 보이지 않고 희미한 길과 스마트폰 지도를 보고 조심스럽게 진행을 합니다.
바위도 만나고...
등산로가 보인듯 합니다. 능선을 따라 계속 진행을 합니다.
조망이 가능한 곳에 올라 본 운해의 모습
정수산의 바위절벽
웅석봉과 그리고 두편엔 구름을 이고 있는 천왕봉이 보입니다.
우측에 보이는 산이 왕산과 필봉산입니다.
웅석봉입니다.
왕산 필봉산
웅석봉
희미한 등산로을 따라 진행을 합니다.
첫번째 만난 이정표 내서마을에서 오라오는 등산로를 가리키고 있습니다.
이제 등산로가 좋겠지 싶었는데.... 변한것은 없고 그대로 입니다.
척지소류지 삼거리 이정표 정상쪽으로 진행을 합니다.
상투바위라고 합니다. 지도에 나와 있는 명칭입니다.
북쪽방향의 산그리메 왼쪽에 왕산 필봉산이 보입니다. 그리고 구인도 보이고....
이정표
정수산 표지석이 있는 정상에 도착했습니다.
천왕봉 조망바위가 있다고 하는데 길을 찾을 수가 없어 포기 하고 쉬어 가기로 합니다.
인증샷
낡은 벤치 이곳에서 치황쪽으로 진행을 하려면 길을 잘 찾아야 합니다. 율곡사쪽길은 좋은데. 차황리쪽은 찾기 힘들게 되어 있습니다.
전망대는 아니고 전망바위를 가리키는 이정표입니다
정수산전망대에서 바라본 황매산과 능선 들
설치한지 아주 오래된 낡은 벤치가 있습니다. 흉가의 물건같이을씨년 스럽습니다.
여전히 등산로는 희미하고 잡풀은 아주 많고 걷기 실을 정도입니다.
능선에서 내수마을로 내려가는 등산로 그런데 등산로 찾기 힘들어 이곳으로의 하산을 포기하고 계속 진행을 합니다.
차황리 쪽 방향을 가리키고 있는이정표
고사리 잡풀이 너무 많아 등산로를 찾기 힘듭니다.
황매산과 능선들
하산길에 바라본 천왕봉과 중보
지도른 이곳으로 가라고 가리키고 있는데... 길이없습니다. 스마트폰 기도를 따라 무작정 밀림을 헤처 나갑니다.
겨우 찾아 이곳까지 왔습니다.
버득재에서 내서 병정마으로 내려갑니다.
내서마을의 정수산 산행안내도 등산로는 사람이 다니지않아 아주 힘들게 산행을했습니다.
병정마을로 내려오면서 찍은 엔딩산
논 한가운데의 정자나무
내서마을 입구의 당산나무 병정마을 저수지까지 내려가 산행을마무리합니다.
'GPS 산행 기록' 카테고리의 다른 글
산청 황매산 감암산 보암산 부암산 (0) | 2018.09.26 |
---|---|
산청 소룡산 바랑산 (1) | 2018.09.16 |
장성 축령산 편백나무 휴양림 (0) | 2018.09.02 |
여수공항 스카이 투어 (0) | 2018.08.25 |
곡성 통명산 (0) | 2018.08.1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