임실 백련산입니다.
어제 오봉산 국사봉을 산행하면서 옥정호 남쪽에 있는 저 봉우리는 무슨 산일까? 많이 궁금했습니다.
지도를 보고 백련산이라는 것을 알았습니다. 저곳을 산행을 해야 하겠다는 욕심으로 오늘 산행을 했습니다.
산행초입은 안내표지가 없어 동래 어르신께 물어 산행을 시작했고 용소폭포를 찾아 가고 계곡을 따라 백련산으로 올라 갔습니다.
499고지에 있는 헬기장을 찾아가고 갈담리 삼거리까지 이정표가 없어 등산로 주변의 지형지물을 보고 GPS 트랙의 포인트를 찍었습니다.
백련산 주변에서부터는 필봉문화촌 등산로부터 시작하는 백련산등산로 이정표가 순차로 설치된 지도를 백련산정상에서 확인을 하였습니다.
백련산 정상에는 통신 시설과 전망데크 산불감시초소가 설치되어있었습니다.
정상에서 칠백리고지 쪽으로 산행을 진행했고 능선길로 칠백리고지 까지는 길을 찾고 진행하는데 별 어려움이 없었습니다.
칠백리고지에 도착 이윤마을 쪽으로 하산을 시작했고 이곳부터는 사람이 많이 다니지 않았는지 길을 찾고 하산하는 것이 많은 어려움이 있었습니다.
눈과 낙엽으로 길을 잃기 쉬웠는데…… 카카오맵을 이용 겨우 길을 찾아 이윤마을 까지 산행을 안전하게 맞힐 수 있었습니다.
[백련산-한국의 산하]
임실읍에서 순창국도를 따라 10.4km 지점인 청웅면에 이르면 북쪽으로 삼각추 모양의 암봉 백련산이 눈에 들어 온다. 청웅면과 강진면의 경계를 이루고 있는 이산은 청웅면에서 남쪽 계곡을 따라 산기슭 구 백련사 터에 이르면 주변경관이 좋다.
정상에는 기상관측소가 있고 모악산, 만덕산, 회문산이 눈에 들어온다. 이산을 가운데 두고 북, 서, 남으로 옥정호와 섬진강 줄기가 휘어감고 있어 마치 연못 한 가운데 피어 있는 연꽃 같다하여 백련산이라 한다.
산행은 청웅면 소재지에서 순창국도 1.2km 지점인 신기마을에서 상강진 마을을 거쳐 왕복하거나 정상에서 이윤마을을 거쳐 방현리 용동마을로 빠지는 코스가 대표적이다.
1. 언제: 2017.12.17
2. 누구와: 나 홀로
3. 산행코스: 학석보건소 주차장=> 용소폭포=> 백련산=> 칠백리고지=> 이윤마을=> 학석보건소 주차장(11.0Km)
4. GPS 파일: 임실 백련산_171217.gdb
임실 백련산_171217.gpx
임실 백련산.kmz
학석보건소
방현마을
마을 골목길을 따라 올라갑니다.
임로를 따라 올라 갑니다.
이곳에 능선과 계곡길이 나뉘는 곳입니다. 그런데 왼쪽에 표지기가 많이 부착되어있습니다.
계곡길을 따라 올라 갑니다.
눈이 쌓여 길이 잘 보이지 않습니다.
용소폭포입니다.
용소폭포
폭포위의 용소
이곳에 마을 간이 상수도가 설치되어 있습니다.
계곡을 올라 갈수록 길이 희미해지고 잘 보이지 않습니다.
표지기 등산로도 잘 보이지 않습니다
길을 찾기 힘듭니다.
표지기가 왼쪽에 있어 무작정 왼쪽으로 올라갑니다.
계곡에서 올라 와 만난 임로 아마 고목이 있던 곳에서 부터 이어 있는 길같은 느낌이 듭니다.
대나무 숲
계곡에서 바라본 정상쪽 봉우리
계속 계곡길을 따라 올라 갑니다.
이 계곡을 건너면 능선으로 올라가는 비탈길이 계속 됩니다.
백련산을 오르면서 만난 묘지
등산로는 희미하고 찾기 힘들 때마다 길라잡이를 해주는 빨간색 표지기
희미한 길을 찾아 계속 올라 갑니다.
가파랐던 언더이 완만해 집니다.
이 높은 곳에 묘지가 있습니다.
499고지에 위치한 헬기장
백련산 산행 중 처음만난 이정표
백련산을 오르면서 만난 계단 오래되고 파손되어 제역할를 할런지 의심스럽습니다.
계단이 많이 파손되어 있습니다.
백련산 정상이 0.2Km 남았다고 합니다.
백련산 정상 0.1km 이곳에도 묘지가 있습니다.
백련산 등산로8 이정표 국가지점번호도 같이 부착되어있습니다.
백련산 정상을 오르는계단 이계단은 최근에 만들어 졌는지 좋아 보입니다.
백현산 정상아래 설치되 벤치
정상아래 벤치에서 바라본 주변의 산그리메(동쪽)
동남쪽
남쪽
백련산 정상 바로 아래에 있는 칠백리고지 삼거리와 이정표
백련산 정상의 구조물
백련산 표지석
정상 인증샷
데크위에 설치된 산불 감시초소 주변을 훠니 볼 수 있습니다.
정상데크에 설치된 백련산 등산로 조합안내도
정상에서 바라본 남쪽의 산그리메 덕태산 선각산 팔공산....
서쪽의 산그리메
우측의 봉우리가 칠백리 고지입니다. 가운데 계곡이 이윤마을
칠백리 고지가 있는 능선
북쪽의 산그리메 머리는 모악산 가까이는 오봉산 국사봉 붕어섬이 보입니다.
북동쪽의 산그리메
청웅면쪽 산그리메
동족의 산그리메
동남쪽의 산그리메
남쪽의 산그리메
좌측의 봉우리가 모악산 중간이 오봉산 국사봉(옥정호)
진안 마이산이 희미하게 보입니다.
정상에서 칠백리 고지로 내려가는 계단
칠백리 고지로 향하는 능선길
사동마을로 내려가는 계단
칠백리고지로 가는 길은 아무도 가지않은 길입니다.
눈위에 사람발자국이 아닌 동물 발자국을 따라 진행 합니다.
칠백리 고지
능선위에서 만난 멋진 소나무
등산로는 능선길로 옆으로 빠질수 없습니다.
암봉을 피해 우회하는 길입니다.
등산로의 계단 설치 한지 아주 오래된 듯 합니다.
백련산등산로11 이정표
오늘은 이눈길을 내가 제일 먼저 걸어 갑니다.
묘지 624고지에 있습니다.
백련산등산로 12이정표 이윤리 삼거리입니다.
칠배리고지를 가면서 바라본 동쪽의 산그리메 덕태산 선각산 팔공산 쪽입니다.
마이산
묘지 662고지
멀리 보이는 백련산
칠백리 고지쪽으로 진행 하면서 바라본 동쪽의 산그리메
백련산과 지나온 능선들
백련산 등산로 13이정표 원두복의 삼거리입니다.
칠백리고지를 오르면서 바라본 백련산
백련산
칠백리고지의 이정표 이윤리쪽으로 능선을 타고 하산합니다.(모시울산 삼거리)
이윤리 쪽으로 하산하는 능선
하산을 동물 발자국인지 사람발자국인지 구분을 할 수 없는 발자국을 따락 갑니다.
묘지 634고지
중간에 이윤리로 내려가는 이정표 입니다. 능선을 따라 계속 진행을 합니다.
봉우리 절벽을 피해 우회 합니다.
낙엽이 많아 길을 찾기 힘듭니다.
길을 겨우 찾아 계속진행을 합니다.
전망바위 이곳에서 잠깐 길을 잃어벼렸습니다.
절벽위의 묘지 481고지
백련산에서 뻐더 내린 능선 왼쪽끝이 백련산입니다.
백련산의 능선
전망바위
전망바위에서 바라본 백련산과 능선
묘지 317고지
산행 초입에 있는 묘지
된쪽이 칠백리고지로 올라가는 길입니다.
이윤마을
이륜마을 입구입니다.
방현마을 입구입니다. 산행을 마무리합니다.
'GPS 산행 기록' 카테고리의 다른 글
부안 우금산 삼예봉 (0) | 2018.01.07 |
---|---|
임실 회문산 (0) | 2017.12.30 |
임실 오봉산 국사봉(옥정호) (0) | 2017.12.16 |
장수 팔공산 (0) | 2017.12.10 |
남원 풍악산 노적봉 (0) | 2017.12.0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