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영 한산도 망산 제승당 [통영 한산도 망산-한국의 산하] 망산은 해발 293m로 도서지역의 등산로라는 의미와 이충무공 유적지가 산재하고 있어 등산과 유적 탐사를 겸할 수 있는 곳이다. 산정에 오르면 동서남북으로 점점이 떠있는 한려해상국립공원의 수려한 섬 뿐만 아니라 한산대첩 구국의 현장을 한눈에 조망할 수 있다. 망산 등산로는 교통이 편리할 뿐만아니라 볼거리와 먹거리 제공이 쉬우며 산림욕을 함께 즐길 수 있다. 등산코스는 이충무공 유적지 제승당(사적 제113호)에서 정상인 망산을 거쳐 면 소재지인 진두마을까지 3시간 정도 소요된다. 마을 버스를 이용해 한적하게 섬을 돌아볼 수 있다. 배시간에 맞춰 버스가 선착장에서 대기하고 있다. [한산도 제승당] 이충무공의 발자취를 찾아서... 이곳은 충무공 이순신 장군이 조선 선조 25년(1592)에 일어난 임진왜란 때 세계해전사상 길이 빛나는 한산대첩을 이룬 후, 제승당을 짓고, 선조 26년(1593)부터 선조 30년(1597)까지 삼도수군의 본영으로 삼아 제해권을 장악하고 국난을 극복한 유서깊은 사적지이다. 선조 30년(1597)에 일단 폐진되었던 제승당은 142년 후인 영조 15년(1739)통제사 조경이 중건하고, 유허비를 세운 이래 1963년 정부가 사적으로 지정하고 여러차례 보수하여 왔다. 1975년 정부는 경역을 확장하고 보수하여 오늘의 모습으로 정화하였다. 이곳에는 제승당을 비롯하여 공의 영정을 모신 영당과 유허비, 그리고 많은 송덕비, 사정, 수루 등 부속시설이 말끔히 단장되어 있어 수려한 주변경관과 더불어 당시 조선 수군본영의 면모를 되찾아 볼 수 있다. 공은 가셨어도 나라 사랑하시던 그 마음은 출렁이는 푸른바다와 함께 언제까지나 살아 남아 조국 수호의 영원한 횃불이 되고 있다.
램블러 지도 이미지구글어스 고도포함 이미지구글어스 북쪽 기준 이미지구글어스 동쪽 기준 이미지구글어스 남쪽 기준 이미지구글어스 서쪽 기준 이미지통영여객선 터미널통영여객선 터미널↔제승당, 한산농협카페리 동계 운항시간표, 07:00 1항차 배를 타고 제승당으로 들어 갑니다.통영여객선터미널 개찰구한산농협카페리호진두마을, 제승당 선착장에서 마을 버스를 타고 이곳까지 이동하여 산행을 시작 합니다.진두마을→ 망산 등산로, 망산 등산로 초입, 제승당 7.2Km, 망산 2.5Km진두마을→ 망산 등산로진두마을→ 망산 등산로진두마을→ 망산 등산로, 한려해상국립공원 한산도 망산 등산로 초입 통제 시설
진두마을→ 망산 등산로진두마을→ 망산 등산로진두마을→ 망산 등산로진두마을→ 망산 등산로진두마을→ 망산 등산로진두마을→ 망산 등산로, 진두전망대진두마을→ 망산 등산로, 진두전망대에서 바라본 한려해상국립공원, 용호도, 죽도 비진도진두마을→ 망산 등산로, 망산 1.5Km진두마을→ 망산 등산로진두마을→ 망산 등산로진두마을→ 망산 등산로진두마을→ 망산 등산로진두마을→ 망산 등산로진두마을→ 망산 등산로, 비진도진두마을→ 망산 등산로진두마을→ 망산 등산로, 한려해상국립공원진두마을→ 망산 등산로진두마을→ 망산 등산로진두마을→ 망산 등산로, 망산 0.5Km진두마을→ 망산 등산로, 망산 정상이 보입니다.진두마을→ 망산 등산로진두마을→ 망산 등산로진두마을→ 망산 등산로, 망산 팔각정 전망대진두마을→ 망산 등산로, 팔각정 전망대에서 바라본 한려해상국립공원망산 정상망산 정상, 인증샷망산 정상 쉼터망산 정상, 야소 삼거리, 제승상 4.7Km 제승당 방향으로 진행을 합니다.망산→ 제승당 등산로망산→ 제승당 등산로망산→ 제승당 등산로망산→ 제승당 등산로망산→ 제승당 등산로망산→ 제승당 등산로망산→ 제승당 등산로망산→ 제승당 등산로, 제승당 3.5Km망산→ 제승당 등산로, 망산교,망산→ 제승당 등산로, 망산교 인증샷망산→ 제승당 등산로망산→ 제승당 등산로망산→ 제승당 등산로망산→ 제승당 등산로망산→ 제승당 등산로망산→ 제승당 등산로망산→ 제승당 등산로망산→ 제승당 등산로망산→ 제승당 등산로, 소고포 삼거리, 제승당 2.3Km망산→ 제승당 등산로망산→ 제승당 등산로망산→ 제승당 등산로망산→ 제승당 등산로망산→ 제승당 등산로망산→ 제승당 등산로망산→ 제승당 등산로망산→ 제승당 등산로, 등산로 옆으로 멧돼지가 흙을 갈아엎어 놓았습니다.망산→ 제승당 등산로망산→ 제승당 등산로, 제승당 1.1Km망산→ 제승당 등산로망산→ 제승당 등산로망산→ 제승당 등산로망산→ 제승당 등산로망산→ 제승당 등산로, 한산도 학익진 전망대망산→ 제승당 등산로망산→ 제승당 등산로, 한산도 역사길 구간 입구망산→ 제승당 등산로, 제승당 앞바다망산→ 제승당 등산로망산→ 제승당 등산로망산→ 제승당 등산로망산→ 제승당 등산로망산→ 제승당 등산로망산→ 제승당 등산로, 제승당 입구망산→ 제승당 등산로망산→ 제승당 등산로망산→ 제승당 등산로, 제승당 관람료는 무료 입니다.망산→ 제승당 등산로망산→ 제승당 등산로망산→ 제승당 등산로망산→ 제승당 등산로망산→ 제승당 등산로, 제승당 우물망산→ 제승당 등산로, 대첩문, 충무사와 제승당으로 들어가는 진입로의 입구에 있다. 1976년 정화사업계획에 따라 현 위치에 신축하였다.망산→ 제승당 등산로망산→ 제승당 등산로망산→ 제승당 등산로, 수루망산→ 제승당 등산로, 수루에서 바라본 한산 앞바다망산→ 제승당 등산로, 수루, 이 건물은 적의 동정을 염탐하던 망루로서 고증에 의하여 현위치에 새로이 건립한 것이다.망산→ 제승당 등산로망산→ 제승당 등산로, 제승당, 이 건물은 임진왜란때 성웅 이순신장군께서 삼도수군을 지휘하시던 곳으로 1976년 10월 중건한 것이다. 이곳에는 세계 해전사에 길이 빛나는 이충무공의 전적을 그린 5폭의 벽화가 있다.망산→ 제승당 등산로 .망산→ 제승당 등산로망산→ 제승당 등산로, 유허비, 1597년 (선조 30년)에 폐진된 제승당을 1739년(영조 15년) 제107대 통제사 조경이 다시 세우면서 충무공을 사모하고, 여기가 제승당터라는 것을 알리기 위하여 이 비를 세웠다. 우측의 비는 138년 후 충무공후손인 제198대 통제사 이규석이 다시 세운 비이다.망산→ 제승당 등산로, 유허비,망산→ 제승당 등산로, 충무사(여당)
이 사당은 성웅 이순신장군의 영정을 모신 곳이며, 원래 조그마한 사당이던 것을 헐고 서기 1976년 10월 본 사당을 건립하였고, 매년 2회 제향을 올리고 있다.망산→ 제승당 등산로, 충무공 이순신 영정망산→ 제승당 등산로, 한산정(사한산정은 이순신장군이 활을 쏘시던 곳이며 사정과 표적과의 거리는 145m이다. 그 당시에는 조정에서만 과거를 보아 왔으나 충무공이 장계를 올려 처음으로 이곳에서 무과시험을 치른 곳으로 100여명이 급제한 곳이기도 하다.정)망산→ 제승당 등산로망산→ 제승당 등산로망산→ 제승당 등산로망산→ 제승당 등산로제승당 선착장, 계획은 12:35 배를 타려고 했는데 산행이 빨리 끝나 10:35분 배로 바꾸어 일찍 통영으로 나갑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