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PS 산행 기록

창원 낙남정맥 대산 광려산

조포(민식) 2025. 6. 15. 18:40
728x90

창원 낙남정맥 대산 광려산
낙남정맥은 조선시대 조상들이 인식하던 한반도의 산줄기체계는 하나의 대간(大幹)과 하나의 정간(正幹), 정맥으로 이루어진 것으로 산과 물이 조화를 이루어야 한다는 사상에서 비롯된 이들 맥은 10대 강의 유역을 가름하는 분수산맥을 기본으로 삼고 있어 대부분의 산맥 이름이 강 이름과 밀접한 관련을 가진다.
낙남정맥은 낙동강 남쪽에 위치한 정맥으로, 백두산에서 시작된 백두대간이 끝나는 지리산의 영신봉에서 동남쪽으로 흘러, 북쪽으로 남강의 진주와 남쪽의 하동·사천 사이로 이어져, 동쪽으로 마산·창원 등지의 높이 300∼800m의 높고 낮은 산으로 연결되어 김해의 동신어산에서 끝난다.
서쪽에서는 섬진강 하류와 남강 상류를 가르고, 동쪽에서는 낙동강 남쪽의 분수령이 된다. 연결되는 산은 옥녀산(玉女山, 614m)·천금산(千金山무량산(無量山, 579m)·여항산(餘航山, 744m)·광로산(匡盧山, 720m)·구룡산(九龍山, 434m)·불모산(佛母山, 802m) 등으로 그 길이는 약 232 km이다.
이 산줄기는 전라도 지방의 호남정맥(湖南正脈) 남쪽 산줄기와 더불어 남해안 지방과 내륙지방을 자연스럽게 분계하고 있다. 이 산줄기의 남쪽 해안지방은 연평균기온이 제주도 다음으로 따뜻한 14°C이며, 난온대산림대(暖溫帶山林帶)를 형성하고, 귤나무의 북한계가 된다.
현대에 낙남정맥을 가로지르는 인공하천 가화천이 생겨나 낙남정맥은 진주시에서 내동면 유수리 지역에서 절단된 상태이다. 그리고 낙남정맥이 낙동강의 하구에서 끝나지 않는 문제로 인해 낙남정맥에서 분기하는 '신낙남정맥'이라는 산맥이 명명되었다. 또한 낙남정맥이 낙동강과 서낙동강 어디에도 이르지 않는 문제 때문에 신어산을 너머 동()신어산까지를 낙남정맥에 포함시키는 추세다.
[
광려산]
광려산은 창원시 마산회원구 내서읍과 함안군 여항면의 경계에 위치한 산이다. 무학산에서 대산을 거쳐 광려산을 경우하는 낙남정맥을 통과하는 등산로 상에 위치하고 있어, 정맥을 종주하는 산꾼들에겐 반드시 거쳐야할 장쾌한 산길이며, 그림 같은 남해 바다와 주변산의 조망할 수 있는 멋진 곳이다. 광려산의 이름은 중국의 명산인 여산(廬山)과 닮았다고 해서, 여산의 여()자와 이산에는 신선들이 살았고, 광씨(匡氏) 성을 가진 7형제 광유(匡裕)의 성 匡자를 본 따 지었다고 한다. 광려산의 지명은 산의 형상이 마치 큰 집()처럼 생겼다 하여 붙여진 이름이라고도 한다.
봄이면 진분홍색 진달래꽃으로 산록을 물들이고, 여름이면 울창하게 우거진 소나무숲 사이로 바닷 바람이 스며 들고, 가을이면 억새풀이 황금빛을 이루며, 겨울이면   눈길 산행지로도 그만인 산이다.
이웃한 무학산의 유명세에 밀려 잘 알려지지 않은 곳이나, 산의 진면목이 조금씩 알려 지면서 전국의 등산객들이 꾸준히 찾고 있는 산이다. 지역 주민들이 삿갓봉이라고 부르는 광려산 정상에 서면, 서쪽으로는 서북산. 여항산. 베틀산이, 동쪽으로는 능선길이 무학산까지 연결돼 있고, 남쪽으로는 진동만의 남해 바다가 끝 없이 펼쳐진다.     산행 들머리에는 대표적인 문화적 사찰인 광산사가 자리 잡고 있다.

1. 언제: 2025.05.15
2. 
누구와나홀로
3. 
산행코스쌀재고개→ 매산→ 바람재→ 윗바람재광산먼등→ 대산→ 광려산 삿갓봉상투봉 삼거리광산사광려산 대산 임도 걷기쌀재고개(15.5Km)
4. GPS 
파일:

창원 낙남정맥 대산 광려산_20250615.gpx
0.17MB
창원 낙남정맥 대산 광려산_20250615.kmz
0.03MB

클릭창원 낙남정맥 대산 광려산(https://www.ramblr.com/web/mymap/trip/439148/8786597/)

 

창원 낙남정맥 대산 광려산

◆ 산행코스: 쌀재고개→ 매산→ 바람재→ 윗바람재→ 광산먼등→ 대산→ 광려산→ 삿갓봉→ 상투봉 삼거리→ 광산사→ 광려산 대산 임도 걷기→ 쌀재고개(15.5Km)

www.ramblr.com

램블러 지도 이미지
구글어스 고도포함 이미지
구글어스 북쪽 기준 이미지
구글어스 동쪽 기준 이미지
구글어스 남쪽 기준 이미지
구글어스 서쪽 기준 이미지
쌀재고개, 대산 3.5Km
쌀재 주차장, 이곳에 주차를 하고 대산 광려산 산행을 시작 합니다. 쌀재 주변에 사유지 농원이 많아 지도를 따라 진행을 할 수 없습니다.
쌀재고개→ 대산 등산로, 쌀재고개 주차장고 임도 차단기가 설치된 곳 바로아래 매산으로 오르는 등산로가 있습니다.
쌀재고개→ 대산 등산로
쌀재고개→ 대산 등산로
쌀재고개→ 대산 등산로, 매산입니다.
쌀재고개→ 대산 등산로, 매산 표지석
쌀재고개→ 대산 등산로
쌀재고개→ 대산 등산로
쌀재고개→ 대산 등산로, 바람재, 안개로 주변을 조망 할 수가 없습니다.
쌀재고개→ 대산 등산로, 윗바람재 0.72Km
쌀재고개→ 대산 등산로
쌀재고개→ 대산 등산로
쌀재고개→ 대산 등산로
쌀재고개→ 대산 등산로
쌀재고개→ 대산 등산로, 윗바람재 아래 약수터가 있습니다.
쌀재고개→ 대산 등산로, 윗바람재봉 전망대
쌀재고개→ 대산 등산로, 대산 윗바람재봉
쌀재고개→ 대산 등산로, 대산 윗바람재봉 인증샷
쌀재고개→ 대산 등산로
쌀재고개→ 대산 등산로
쌀재고개→ 대산 등산로
쌀재고개→ 대산 등산로
쌀재고개→ 대산 등산로
쌀재고개→ 대산 등산로, 힘들면 쉬어가라 벤치가 있습니다.
쌀재고개→ 대산 등산로, 광산 광산먼등 정상
쌀재고개→ 대산 등산로
대산 정상
대산 정상 인증샷
대산→ 광려산 등산로
대산→ 광려산 등산로
대산→ 광려산 등산로, 광려산 동쪽 산기슬 전체가 문화재보호 및 입산금지 구역으로 지정 되어 있습니다.
대산→ 광려산 등산로
대산→ 광려산 등산로
대산→ 광려산 등산로
대산→ 광려산 등산로
대산→ 광려산 등산로
대산→ 광려산 등산로
대산→ 광려산 등산로
광려산 정상
광려산 정상 인증샷
광려산→ 광산사 등산로
광려산→ 광산사 등산로
광려산→ 광산사 등산로
광려산→ 광산사 등산로, 상투구봉 삼거리
광려산→ 광산사 등산로, 광려산 삿갓봉 정상
광려산→ 광산사 등산로, 광려산 삿갓봉 인증샷
광려산→ 광산사 등산로
광려산→ 광산사 등산로, 상투봉(화개산) 1.8Km
광려산→ 광산사 등산로
광려산→ 광산사 등산로
광려산→ 광산사 등산로, 상투봉 삼거리, 광산사 0.7Km, 관산사 방향으로 하산을 합니다.
광려산→ 광산사 등산로
광려산→ 광산사 등산로
광려산→ 광산사 등산로
광려산→ 광산사 등산로
광려산→ 광산사 등산로
광려산→ 광산사 등산로, 등산로 입구 0.4Km, 등산로 입구 방향으로 진행을 합니다.
광려산→ 광산사 등산로
광산사 일주문
광려산 임도 걷기, 대산등산로 입구 1.3Km, 입도를 따라 쌀재고개방향으로 진행을 합니다.
광려산 임도 걷기
광려산 임도 걷기
광려산 임도 걷기
광려산 임도 걷기, 어제 내린비로 계곡의 수량이 풍부 합니다.
광려산 임도 걷기
광려산 임도 걷기, 임도의 팔각정 쉼터, 임도 곳곳에 쉼터가 설치 되어 있습니다.
광려산 임도 걷기, 임도에서 바라본 마산 무학산 정상과 능선
광려산 임도 걷기
광려산 임도 걷기
광려산 임도 걷기
광려산 임도 걷기
광려산 임도 걷기
광려산 임도 걷기
광려산 임도 걷기
광려산 임도 걷기
광려산 임도 걷기
광려산 임도 걷기
광려산 임도 걷기, 바람재로 오르는 계단
광려산 임도 걷기
광려산 임도 걷기
광려산 임도 걷기
광려산 임도 걷기
광려산 임도 걷기
광려산 임도 걷기
광려산 임도 걷기, 쌀재고개 주차장에 도착했습니다. 이제 산행을 마무리하고 귀가를 합니다.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