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PS 산행 기록

남한산성 도립공원1

조포(민식) 2024. 5. 8. 19:58
728x90

남한산성 도립공원
남한산 [南漢山]
높이: 522m
위치: 경기도 광주시 중부면, 서울특별시 송파구 마천동

특징, 볼거리
남한산은 사적 제57호로 지정된 남한산성이 축조되어 있어서 남한산성으로 더 알려 알려져 있으나 남한산을 아는 사람은 많지 않다. 남한산성에는 남한산성을 보호하는 외성(外城)으로 동남쪽에 한봉성(漢峰城)과 봉암성(蜂岩城)이 있다.
남한산은 그 지형의 사면이 외부로부터의 공격을 방어하기에 좋은 조건을 갖추고 있다. 대개의 고원지는 해가 늦게 뜨고 일찍 져서 주단야장(晝短夜長)의 폐가 있지만 이 산성지역만은 주장야단(晝長夜短)의 독특한 지형을 이루기 때문에 옛 부터 일장산(日長山주장산(晝長山)이라고도 불리어 왔다.
남한산성은 두개의 산에 걸쳐있는 산성이다. 남한산성의 대표적인 봉우리는 수어장대가 있는 청량산(482.6m)이고, 북쪽으로 연주봉(467.6m)과 이어진다.
지형도상의 남한산성 최고봉은 동남쪽의 벌봉(515m)에서 한봉(418m)으로 이어지는 남한산성을 보호하는 외성(外城) 능선에 있는 남한산(522m)이다.
남한산 산행은 남한산보다 산성 성곽을 둘러보는 성곽답사를 주로 한다.

남한산성 도립공원
남한산성은 경기도 광주시 중부면 남한산의 해발 460미터나 되는 고원지대에 자연적으로 형성된 요새지로 1971.3.17일 도립공원으로 지정되었다.
이 산성은, 백제의 시조 온조왕이 외침을 막기 위해 토성을 쌓았던 것을 후세사람이 여러 번 고쳐 쌓아오다가, 조선 광해군(1608) 때 본격적으로 개축한 것이 남한산성이 되었다고 하며, 병자호란 때는 인조가 피신하여 만 2천 여명의 병사와 분전했던 역사적인 장소이기도 하다.
성내 최고봉인 청량산에 오르면 멀리 인천지역의 낙조를 비롯하여, 서울은 물론 경기도 양주시, 여주군, 양평군, 용인시, 고양시까지 한눈에 내려다 보이는 절경을 연출하는 남한산성은 사적 제 57호로 지정되어 있다.
인기명산 [96]
남한산은 남한산성이 도립공원으로 지정되어 있어 산행지라기보다 시민들의 휴식처로 사계절 두루 이용된다.

1. 언제: 2024.05.03
2.
누구와: 나홀로
3.
산행코스: 남한산성 주차장→ 고골계곡→ 전승문(북문)→ 연주봉 옹성→ 우익문(서문)→ 청량산 수어장대→ 자화문(남문)→ 제1남옹성→좌익문(동문)(7.6Km)
4. GPS 파일:

남한산성 도립공원1_20240504.gpx
0.09MB
남한산성 도립공원1_20240504.kmz
0.02MB


☞ 클릭: 남한산성 도립공원1(https://www.ramblr.com/web/mymap/trip/439148/6923448/)

 

남한산성 도립공원1

◆ 산행코스: 남한산성 주차장→ 고골계곡→ 전승문(북문)→ 연주봉 옹성→ 우익문(서문)→ 청량산 수어장대→ 자화문(남문)→ 제1남옹성→좌익문(동문)(7.6Km)

www.ramblr.com

램블러 지도 이미지
구글어스 고도포함 이미지
구글어스 북쪽 기준 이미지
구글어스 동쪽 기준 이미지
구글어스 남쪽 기준 이미지
구글어스 서쪽 기준 이미지
남한산성 주차장(하남), 하남시 남한산성 주차장의 남한산성 탐방안내도 이곳에서 남한산성 성곽 둘레길 산행을 시작합니다.
남한산성 주차장, 하남 위례길 안내
남한산성 주차장→ 전승문(북문) 등산로, 고골계곡을 따라 올라 갑니다.
남한산성 주차장→ 전승문(북문) 등산로
남한산성 주차장→ 전승문(북문) 등산로
남한산성 주차장→ 전승문(북문) 등산로
남한산성 주차장→ 전승문(북문) 등산로, 전승문(북문) 1.2km
남한산성 주차장→ 전승문(북문) 등산로, 계곡 정비 사업이 최근에 완료 된듯 합니다.
남한산성 주차장→ 전승문(북문) 등산로, 남한산성 북문입구, 전승문 0.5km
남한산성 주차장→ 전승문(북문) 등산로
남한산성 주차장→ 전승문(북문) 등산로
남한산성 주차장→ 전승문(북문) 등산로
남한산성 주차장→ 전승문(북문) 등산로, 전승문(북문) 0.3km
남한산성 주차장→ 전승문(북문) 등산로, 전승문(북문) 0.2km
남한산성 주차장→ 전승문(북문) 등산로
남한산성 주차장→ 전승문(북문) 등산로
전승문(북문),  남한산성의 북문을 전승문 이라고 부른 이유는 다시는 전쟁에서 패하지말자는 뜻이 담겨져 있다.
전승문(북문)→청량산 수어장대 등산로
전승문(북문)→청량산 수어장대 등산로
전승문(북문)→청량산 수어장대 등산로, 우익움(서문) 0.7km
전승문(북문)→청량산 수어장대 등산로
전승문(북문)→청량산 수어장대 등산로
전승문(북문)→청량산 수어장대 등산로
전승문(북문)→청량산 수어장대 등산로, 우익문 200m, 남한산성 성곽을 따라 진행을 합니다.
전승문(북문)→청량산 수어장대 등산로
전승문(북문)→청량산 수어장대 등산로, 연주봉 옹성 입구
전승문(북문)→청량산 수어장대 등산로
전승문(북문)→청량산 수어장대 등산로
전승문(북문)→청량산 수어장대 등산로, 연주봉 옹성
전승문(북문)→청량산 수어장대 등산로, 연주봉 옹성에서 바라본 서울 시계가 좋지 않아 잘 보이지 않습니다.
전승문(북문)→청량산 수어장대 등산로, 옹성에서 들어오면서 바라본 암문
전승문(북문)→청량산 수어장대 등산로
전승문(북문)→청량산 수어장대 등산로, 저멀리 서울 타워가 보입니다.
전승문(북문)→청량산 수어장대 등산로
전승문(북문)→청량산 수어장대 등산로, 우익문(서문)을 통과 합니다.
전승문(북문)→청량산 수어장대 등산로
전승문(북문)→청량산 수어장대 등산로, 자화문 1.8km
전승문(북문)→청량산 수어장대 등산로, 남한산성 성벽 복원사업이 진행되고 있습니다.
전승문(북문)→청량산 수어장대 등산로
전승문(북문)→청량산 수어장대 등산로, 수어장대와 청량당
청량산 수어장대,  남한산성 서쪽의 청량산 정상에서 성의 내외를 모두 굽어 볼 수 있는 군사적 요충에 위치하며 남한산성 축조 때부터 성내를 지휘하는 장대로서의 역할을 하고 있다.
청량산 수어장대 인증샷
청량산 수어장대→ 좌익문(동문) 등산로, 제6암문(서암문)
청량산 수어장대→ 좌익문(동문) 등산로
청량산 수어장대→ 좌익문(동문) 등산로
청량산 수어장대→ 좌익문(동문) 등산로
청량산 수어장대→ 좌익문(동문) 등산로
청량산 수어장대→ 좌익문(동문) 등산로, 영춘정
청량산 수어장대→ 좌익문(동문) 등산로
청량산 수어장대→ 좌익문(동문) 등산로
청량산 수어장대→ 좌익문(동문) 등산로
청량산 수어장대→ 좌익문(동문) 등산로
청량산 수어장대→ 좌익문(동문) 등산로
청량산 수어장대→ 좌익문(동문) 등산로
청량산 수어장대→ 좌익문(동문) 등산로
청량산 수어장대→ 좌익문(동문) 등산로
청량산 수어장대→ 좌익문(동문) 등산로, 자화문(남문)
청량산 수어장대→ 좌익문(동문) 등산로
청량산 수어장대→ 좌익문(동문) 등산로
청량산 수어장대→ 좌익문(동문) 등산로
청량산 수어장대→ 좌익문(동문) 등산로
청량산 수어장대→ 좌익문(동문) 등산로, 제7암문, 제1남 옹성, 옹성을 확인하러 갑니다.
청량산 수어장대→ 좌익문(동문) 등산로
청량산 수어장대→ 좌익문(동문) 등산로
청량산 수어장대→ 좌익문(동문) 등산로, 제1남옹성
청량산 수어장대→ 좌익문(동문) 등산로
청량산 수어장대→ 좌익문(동문) 등산로
청량산 수어장대→ 좌익문(동문) 등산로
청량산 수어장대→ 좌익문(동문) 등산로
청량산 수어장대→ 좌익문(동문) 등산로, 제2남 옹성 치
청량산 수어장대→ 좌익문(동문) 등산로, 제2남옹성
청량산 수어장대→ 좌익문(동문) 등산로
청량산 수어장대→ 좌익문(동문) 등산로, 남단사지 암문(제9암문)
청량산 수어장대→ 좌익문(동문) 등산로
청량산 수어장대→ 좌익문(동문) 등산로, 한흥사지 암문(제10암문)
청량산 수어장대→ 좌익문(동문) 등산로
청량산 수어장대→ 좌익문(동문) 등산로
청량산 수어장대→ 좌익문(동문) 등산로
청량산 수어장대→ 좌익문(동문) 등산로
청량산 수어장대→ 좌익문(동문) 등산로, 제11암문(동암문)
좌익문(동문), 좌익문에서 남한산성 도립공원1 산행을 마무리하고 연이어 남한산성 도립공원2 산행을 시작 합니다.

728x90